내 중위소득 확인방법 총정리!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복지로 온라인 조회, 소득인정액 계산법과 복지 혜택 연결까지 안내합니다.
정부 복지 혜택을 신청할 때 가장 많이 나오는 기준이 바로 중위소득입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주거급여, 양육수당 등 대부분의 복지 제도는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몇 % 이하인지로 자격이 결정되죠. 따라서 내 중위소득 확인방법을 아는 것은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첫걸음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와 함께, 온라인에서 간단하게 확인하는 방법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중위소득이란?
- 정의: 전국 모든 가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딱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 소득
- 기준: 보건복지부에서 매년 고시
- 활용: 기초생활보장, 차상위계층, 주거급여, 양육수당, 에너지바우처 등 복지 대상 선정
👉 즉, 내 가구의 소득이 ‘중위소득 몇 % 이하냐’에 따라 복지 수급 여부가 달라집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1인 가구 기준으로 월 2,223,586원)
가구원 수 | 기준 중위소득 (100%) | 70% 기준 | 50% 기준 |
1인 | 2,223,586원 | 1,556,510원 | 1,111,793원 |
2인 | 3,707,590원 | 2,595,313원 | 1,853,795원 |
3인 | 4,762,212원 | 3,333,548원 | 2,381,106원 |
4인 | 5,801,917원 | 4,061,342원 | 2,900,959원 |
5인 | 6,787,618원 | 4,751,333원 | 3,393,809원 |
📌 예시: 3인 가구 소득이 월 300만 원이라면 → 중위소득 4,762,212원의 약 63% → ‘70% 이하’ 혜택 대상 가능성 있음.
내 중위소득 확인방법
1. 복지로 홈페이지 이용
- 복지로(bokjiro.go.kr) 접속
- 상단 메뉴 → 모의계산 클릭
- 가구원 수, 소득, 재산 입력
- 자동으로 중위소득 대비 % 산출


2. 국민복지포털 ‘행복드림’
- 주민등록상 가구원 수, 소득 정보 입력 → 즉시 결과 확인 가능
3. 국민연금공단 상담
- 고객센터(1355) 전화 후 소득인정액 확인 방법 안내 가능
소득인정액 계산법 (간단 요약)
중위소득과 비교할 때는 단순 월급만 보는 게 아니라 소득인정액을 계산합니다.
- 소득평가액: 근로·사업·재산 소득
- 재산의 소득환산액: 주택, 토지, 자동차, 금융자산 반영
- 최종 합산액을 중위소득 기준과 비교
중위소득 확인 시 주의사항
내 소득을 단순히 월급만으로 계산하면 실제 결과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복지 지원 여부를 결정하는 소득인정액에는 여러 항목이 포함되기 때문이죠.
- 근로·사업소득: 급여, 사업 이익 등
- 재산 소득: 주택·토지·자동차·예금 등 자산에서 일정 금액 환산
- 공적이전소득: 국민연금, 기초연금, 아동수당 등
- 기타소득: 이자, 배당, 임대료
👉 따라서 단순 소득만 기준으로 삼지 말고, 재산과 각종 수당까지 합산해 확인해야 정확합니다.
복지 혜택과의 연결
내 중위소득 확인은 단순히 숫자를 보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습니다. 복지 제도 대부분이 중위소득 %에 따라 대상자를 나누기 때문입니다.
- 기초생활보장
- 생계급여: 중위소득 30% 이하
- 의료급여: 중위소득 40% 이하
- 주거급여: 중위소득 47% 이하
- 차상위계층: 중위소득 50% 이하
- 아이돌봄·양육수당: 중위소득 75% 이하
- 에너지바우처: 중위소득 60% 이하
예시: 4인 가구 기준 월 소득이 280만 원이라면 → 중위소득(5,801,917원)의 약 48% → 차상위계층에 해당 → 주거급여·교육급여 수급 가능.
실제 조회 사례
- 사례 1: 2인 가구, 월 소득 190만 원 → 중위소득의 약 51% → 차상위계층 지원 가능성 높음
- 사례 2: 3인 가구, 월 소득 320만 원 → 중위소득의 약 67% → 아동수당, 양육 지원 가능
- 사례 3: 1인 가구, 월 소득 150만 원 → 중위소득의 약 67% → 생계급여 대상 아님, 하지만 주거급여 일부 가능
결론
내 중위소득 확인방법은 복지로 홈페이지 모의계산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쉽고 정확합니다. 다만 단순 급여가 아니라, 재산과 각종 소득을 포함한 소득인정액 기준으로 비교해야 복지 수급 자격 여부를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 부모님이나 본인이 복지 혜택 대상인지 궁금하다면, 온라인 조회 후 주민센터 복지 상담을 통해 최종 확인하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인기글 더보기
애플페이 티머니 완벽 가이드 – 발급부터 워치 사용까지
2025년 7월 22일 정식 출시된 애플페이 티머니! 현대카드 연동, 익스프레스·자동충전 설정법, 워치 사용기, 환불·학생할인까지 A부터 Z까지 정리했습니다.애플페이 티머니 출시 개요 및 배경출시
after60s.com
모바일 티머니 교통카드 이용법|앱 충전부터 고속버스 예매까지
모바일티머니 어떻게 쓰는지 헷갈리셨나요? 충전형·후불형 차이부터 삼성페이, 아이폰, 환불, 그리고 고속·시외버스 예매 방법까지 이 글 하나로 해결하세요!모바일 티머니란?모바일티머니는
after60s.com
머니워크 vs 캐시워크 만보기 앱테크 수익 비교! 추천인 코드로 추가 보상 받자!
"머니워크 vs 캐시워크, 어떤 만보기 앱이 돈 더 잘 벌릴까? 보상 구조부터 실제 수익, 추천인 코드 혜택까지 비교 분석! 신규 유저라면 최대 3,000포인트 추가 적립 가능!"만보기 앱테크, 진짜 돈
after60s.com
2025 근로장려금 금액 산정표 기준으로 보는 단독 홑벌이 맞벌이 예상 수령액
2025 근로장려금 금액 산정표 기준으로 단독가구, 홑벌이, 맞벌이 가구의 예상 금액을 정확히 정리했습니다. 산정 방식, 계산법, 조회 방법까지 한눈에 확인하세요.근로장려금이란?근로장려금은
after60s.com










